반응형

입신양명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등용문(登龍門)

1. 고사성어 등용문(登龍門) 뜻과 풀이 登 : 오를 등 龍 : 용 용 門 : 문 문 용문에 오른다는 뜻으로서 성공하기 위한 발판에 들어섬을 의미 2. 고사성어 등용문(登龍門) 유래 고사성어 등용문(登龍門)은 《후한서(後漢書)》 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본디 등용문(登龍門)에서 용문이란 중국 황하강 상류쪽에 위치한 협곡을 가리키는데 급류가 워낙 심해서 웬만한 물고기들이 여간해서 오르기 힘든 곳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곳을 오른 물고기들은 순식간에 용이될 수 있다는 전설까지 있을 정도니까요. 중국 후한에는 이응(李膺)이라는 관리가 있었습니다. 본디 이응(李膺)은 청렴하고 엄격한 성격으로 이미 많은 사람들로부터 유명세를 떨쳤습니다. 이응(李膺)이 관직으로서 활약을 했을 당시에는 환관들의 횡포가 극에 달했을 시기..

[오늘 하루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

1.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 뜻과 풀이 立 : 설 립 身 : 몸 신 揚 : 오를 양 名 : 이름 명 출세하여 세상에 이름을 널리 알린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 유래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은 유교(儒敎) 최초의 경전(經典) 효경(孝經)에서 유래했습니다. 자신의 수많은 제자 중 한 명인 증자(曾子)에게 공자가 효에 대한 내용을 전한 것으로 훗날 제자들이 모여 편저(編著)를 했습니다. 하지만 언제 이 책이 완성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 때 이 책이 전해졌으며 유교효도의 기본서가 되었다고 합니다. 身體髮膚 受之父母(신체발부 수지부모) 인간의 몸은 부모로 부터 만들어진 것이니 不敢毁傷 孝之始也(불감훼상 효지시야) 다치지 않고 건강한 신체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