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군자 3

[오늘 하루 어휘력] 군자삼락(君子三樂)

1. 고사성어 군자삼락(君子三樂) 뜻과 풀이 君 : 그대 군 子 : 당신 자 三 : 석 삼 樂 : 즐길 낙, 좋아할 요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이라는 뜻 2. 고사성어 군자삼락(君子三樂) 유래 君子有三樂 (군자유삼락) 군자에게는 세가지의 즐거움이 있도다 而王天下不與存焉 (이왕천하불여존언) 이것은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 부모가 모두 다 살아계시고 형제들이 무고한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요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일락야) 하늘과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음이 두번째 즐거움이며 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 (득천하영재 이교육지 삼락야)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침을 주는 것이 세 번째 즐거움이니라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

[오늘 하루 고사성어] 극기복례(克己復禮)

1. 고사성어 극기복례(克己復禮) 뜻과 풀이 克 : 이길 극 己 : 몸 기 復 : 돌아올 복 禮 : 예도 예 자신의 욕심을 버리고 예로 돌아가려 노력함 2. 고사성어 극기복례(克己復禮) 유래 고사성어 극기복례(克己復禮)는 『논어』「안연편(顔淵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극기복례(克己復禮)는 공자가 자신의 제자 중 한 명인 안연에게 인(仁)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것입니다. 충동적이고 이성보다는 감성에 치우칠 수 있는 자아의 의지를 극복하고 예를 중시하는 참된 군자(君子)의 길을 걸을 수 있도록 지도하고자 공자는 늘 노력했습니다. 顔淵問仁 子曰克己復禮爲仁 안연문인 자왈극기복례위인 나를 이기고 예로 돌아감이 인이 된다.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일일극기복례 천하귀인언 단 하루라도 나 자신을 이기고..

[오늘 하루 고사성어] 자강불식(自强不息)

1. 고사성어 자강불식(自强不息) 뜻과 풀이 自 : 스스로 자 强 : 힘쓸 강 不 : 아닐 불 息 : 쉴 식 스스로 쉬지 않고 줄곧 힘을 싣는다는 뜻으로서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노력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자강불식(自强不息) 유래 군자는 자기를 바르게 할 뿐 타인을 탓하지 아니하고, 원망조차 하지 아니한다 (正己而不求於人, 則無怨) 위로는 하늘을 원망하지 아니하고, 아래로는 다른 사람을 탓하지 아니한다 (上不怨天, 下不尤人)’고 했다 화살이 정곡을 맞히지 못한다면 과녁을 탓하지 말고, 자세를 바로 잡으려 하라 (失諸正鵠, 反求諸其身) 하늘의 운행은 굳세니, 군자는 하늘을 본받아 스스로 굳건하게 해야하며 쉼이 없어야 한다 (天行健, 君子以自强不息) 고사성어 자강불식(自强不息)은 불교 경전인 《역경(易經)..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