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자성어 66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구사일생

1. 고사성어 구사일생 뜻과 풀이 九 아홉 구 死 죽을 사 一 한 일 生 살 생 구사일생(九死一生) 아홉 번 죽을 뻔하다가 한번 살아난다는 뜻으로서,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겪고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구사일생 유래 고사성어 구사일생은 전국시대 초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초나라에는 굴원(屈原)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유명한 시인이자 정치가였습니다. 학식이 깊었고 글재주가 남달랐기에 삼려대부라는 높은 벼슬에 오르기도 했으나 워낙 충직하고 곧은 성품을 가진 인물이었는지라 자신이 섬기는 회왕에게 충언 또한 아끼지 않았기에 주변 사람들로부터 시기를 받기도 했습니다. 어느 날, 진나라의 소왕은 초나라의 회왕에게 자신의 나라에 방문할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많은 신하들이 회왕에게 입..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새옹지마

1. 고사성어 새옹지마 뜻과 풀이 塞 변방 새 翁 늙은이 옹 之 갈 지 馬 말 마 새옹지마(塞翁之馬) 변방에 사는 늙은이라는 뜻으로서, 좋은 일과 나쁜 일을 미리 예측하기 불가능하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새옹지마 유래 고사성어 새옹지마는 중국 북쪽 변방 어느 마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북쪽 변방에 어느 한 노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 노인은 미래의 일을 예측할 수 있는 점을 치는 것으로 마을 사람들에게 유명한 사람이었습니다. 노인에게는 키우던 말 한 마리가 있었는데 그 말이 스스로 고삐를 끊어버리고는 북쪽 오랑캐의 땅으로 달아나버렸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그에게 찾아와 위로의 말을 건넸지만 노인은 상심하지 않은 채, 태연하게 별일 아니라며 오히려 복 일지 누가 알겠냐고 대답하였습니다. 몇 달이 지난 뒤..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남가일몽

1. 고사성어 남가일몽 뜻과 풀이 南 : 남녘 남 柯 : 자루 가 一 : 한 일 夢 : 꿈 몽 남가일몽(南柯一夢) 한갓 허망한 꿈을 뜻하며 꿈과 같은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라는 의미 2. 고사성어 남가일몽 유래 고사성어 남가일몽은 당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당나라 덕종이 왕인 시절 광릉이라는 지역에 순우분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의 집 남쪽에는 커다란 느티나무가 있었지요. 하루는 순우분이 술에 잔뜩 취하여 느티나무 밑에서 잠이 들어버렸습니다. 그때 어디선가 보라색의 관복을 입은 두 사내가 나타나 순우분에게 다가갔습니다. 괴안국에서 임금의 명을 받고 순우분을 모시러 왔으니 함께 가자는 것이었습니다. 순우분은 얼떨결에 두 사내를 따라 느티나무 밑에 큰 구멍에 들어갔습니다. 한참을 따라가니 큰 성문이..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미생지신

1. 고사성어 미생지신 뜻과 풀이 尾 : 꼬리 미 生 : 날 생 之 : 어조사 지 信 : 믿을 신 미생지신(尾生之信) 미생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의 믿음이라는 뜻으로서, 미련하도록 굳은 의지로 약속을 지키나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음을 의미 2. 고사성어 미생지신 유래 고사성어 미생지신은 춘추시대 노나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춘추시대 노나라에는 미생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의 성격은 우직하여 한번 지킨 약속은 끝내 지키고자 노력하는 사람이었죠. 그런 미생에게는 사랑하는 사람이 생겼는데, 하루는 그녀와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였습니다. 그녀와 만나기로 한날, 그들이 정한 시간에 미생은 약속 장소로 나와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도 좀처럼 그녀의 모습은 보일 기세가 없었습니다. 뒤늦게라도 나타날..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과유불급

1. 고사성어 과유불급 뜻과 풀이 過 지나칠 과 猶 오히려 유 不 아닐 불 及 미칠 급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만 못하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과유불급 유래 고사성어 과유불급은 논어 선진의 대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논어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로 활동했던 공자와 그의 제자들 사이에서 나온 그들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 경전입니다. 공자는 서기전 551년 노나라에서 태어났습니다. 15살에 학문을 시작하여 20살이 되던 해에 이름을 널리 떨치게 되었으며 많은 제자들이 그를 따르게 되었습니다. 공자는 철저한 현실주의자로서 실천을 전제로 한 도덕이 핵심을 이루었습니다. 그를 따르는 제자가 대략 3천 명이었는데 그중 72인이 뛰어났다고 합니다. 어느 날 제자중 한 명이 공자에게 자장과 자하 중..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각주구검

1. 고사성어 각주구검 뜻과 풀이 刻 : 새길 각 舟 : 배 주 求 : 구할 구 劍 : 칼 검 각주구검(刻舟求劍) 배에 표시를 해놓고 나중에 검을 찾는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미련한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각주구검 유래 고사성어 각주구검은 진나라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나오는 우화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여씨춘추는 기원전 239년 중국 진나라의 재상인 여불위가 주도하여 편집되었으며 전국의 식객들과 논개들을 불러 모아 춘추전국시대의 모든 사상들을 수집하여 정리하여 정치와 율령을 참고로 삼기 위해 저술된 일종의 백과사전과 같은 책이지요. 초나라에서의 어느 날 사람들은 배를 타기위해 강으로 모였습니다. 하지만 거센 바람이 심상치 않아 배에 타려는 사람들은 조금씩 걱정하기 시작했고 뱃사공은 이 정도의 바람은 괜찮다..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사면초가

1. 고사성어 사면초가 뜻과 풀이 四 넉 사 面 낯 면 楚 초나라 초 歌 노래 가 사면초가(四面楚歌) 사방에서 들리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라는 뜻으로서,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인 상태를 의미 2. 고사성어 사면초가 유래 고사성어 사면초가는 초나라의 항우와 한나라의 유방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항우와 유방은 천하를 다투고 있었지요. 한나라의 군사들과 유방의 기세에 초나라의 항우는 쫓기는 신세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싸움이 이어지게 되고 한나라의 최고 지략가인 장량이 유방에게 항우는 절대 얕잡아볼 인물이 아닌지라 무조건 공격만을 고수하지 않고 작전을 바꾸어야 한다고 조언하였습니다. 장량의 작전은 이러했습니다. 초나라의 군사들은 오랜 싸움으로 인해 심신이 지쳐있을 뿐더러 분명 가족과 고향을 그..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오십보백보

1. 고사성어 오십보백보 뜻과 풀이 五 : 다섯 오 十 : 열 십 步 : 걸음 보 百 : 일백 백 步 : 걸음 보 오십보백보(五十步百)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근본적인 차이는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오십보백보 유래 오십보백보는 중국 전국시대 위나라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위나라는 한나라와 조나라 사이에 끼어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위나라는 멸망의 위기에 놓여 있었는데 한나라와 조나라가 승전을 한 후, 위나라의 땅을 놓고 둘이서 다투었기 때문이죠. 두 나라가 다투는 동안 위나라 혜왕(惠王)은 왕위에 올랐고 조금씩 국력을 키웠습니다. 탄탄한 국력이 뒷받침이 되니 혜왕의 생각엔 한나라와 조나라에 쳐들어가 지난날의 울분을 되갚을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위 나라는 두 나라를 공격하고 승리를 맛본 뒤에 주변국인..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조삼모사

1. 고사성어 조삼모사 뜻과 풀이 朝 : 아침 조 三 : 석 삼 暮 : 저녁 모 四 : 넉 사 조삼모사(朝三暮四) 아침에는 세개, 저녁에는 네개 라는 뜻으로서,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을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의미 2. 고사성어 조삼모사 유래 고사성어 조삼모사는 전국시대 송나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송나라에는 저공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저공은 원숭이라는 동물을 무척이나 좋아하여 그의 집에 수십마리를 키우고 있었습니다. 원숭이들은 지능이 좋았지만 저공 또한 원숭이들에게 애정을 쏟아부으니 그들은 서로 어느정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저공은 넉넉하게 살고 있는 형편이 아니었습니다. 원숭이들이 좋았지만 개체의 수가 너무 많다보니 그들에게 먹이를 배급하는 것이 여간 부담이..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관포지교

1. 고사성어 관포지교 뜻과 풀이 管 : 대롱 관 鮑 : 절인 고기 포 之 : 갈 지 交 : 사귈 교 관포지교(管鮑之交)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이라는 뜻으로서, 관중과 포숙아처럼 변하지 않는 우정을 의미 2. 고사성어 관포지교 유래 고사성어 관포지교는 춘추시대 초기 제나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제나라에는 포숙아와 관중이라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이 둘은 어렸을 때부터 둘도 없는 친구사이였고 성인이 되어서까지 절친한 사이를 유지해왔습니다. 이 두 사람은 한때 함께 장사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장사로부터 얻은 수익은 포숙아보다는 관중이 더 많이 가져가게 되었습니다. 이들의 주변 사람들은 포숙아에게 당신이 장사를 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해왔는데 관중이 수익을 더 많이 가져간 것에 대해 옳지 못하다고 주장하..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읍참마속

1. 고사성어 읍참마속 뜻과 풀이 泣 : 울 읍 斬 : 벨 참 馬 : 말 마 謖 : 일어날 속 음참마속(泣斬馬謖) 울면서 마속을 베어낸다는 뜻으로서, 대의를 위해서 측근이라도 가차없이 제거하는 권력의 공정성과 과단성을 의미 2. 고사성어 읍참마속 유래 고사성어 읍참마속은 촉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촉나라는 위나라와 전쟁을 치르고 있던 중이었습니다. 촉나라의 제갈량은 위나라를 물리칠 수 있는 작전을 가지고 있었으나, 한가지 고민에 빠졌습니다. 촉군 식량을 옮기던 가정지역이 유독 불안했기 때문입니다. 이때 마속이 나타나서 자신이 가정지역으로 가겠다고 자청하였습니다. 아무리 군사들이 싸움을 잘한다 한들 본디 잘 먹여야 기운이 나는 법이기에 전쟁에서 보급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도 없었습니다. 더군다나 위나라에..

오늘 하루 고사성어 : 화룡점정

1. 고사성어 화룡점정 뜻과 풀이 畵 : 그림 화 龍 : 용 룡 點 : 점찍을 점 睛 : 눈동자 정 화룡점정(畵龍點睛) 용의 전체를 그린다음 마지막으로 용의 눈동자를 그린다는 뜻으로서, 가장 요긴한 부분을 마치어 일을 끝낸다는 의미 2. 고사성어 화룡점정 유래 고사성어 화룡점정은 중국 남북조시대 양나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양나라에서는 장승요(張僧繇)라는 무신겸 궁정화가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힘들었더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 조용히 혼자 절을 찾았습니다. 어느 날, 장승요가 머물고 있던 절에 작은 소란이 일었습니다. 동자승이 말하기를 비둘기가 법당안으로 들어가 부처님께 똥을 싸지른다며 볼멘소리를 하자, 장승요는 비둘기를 쫓아내어주겠다며 동자승에게 붓과 물감을 가져다 달라 요구하였습니다. 장승요는 법당벽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