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93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

1.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 뜻과 풀이 莫 : 말 막 逆 : 거스릴 역 之 : 어조사 지 友 : 벗 우 서로에게 거스름이 없는 사이라는 뜻으로서 허물없이 가까이 지내는 친구라는 의미 2.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 유래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는 장자 내편(內篇) 대종사(大宗師)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장자는 전국시대의 사상가이자 장자의 저서입니다. 장자의 문학은 우언우화(寓言寓話)로 엮어졌으며 이를 이용하여 우주의본체와 만물의 근원에 대해 논하였습니다. 위(魏)·진(晉)때에 장자가 널리 읽혔으며 육조시대(六朝時代)때까지 그 사상이 유행했고 오늘날까지 그의 이름이 잊혀지지 않을 정도로 큰 영향력을 미친 인물입니다. 장자에서 이야기를 전하기를 자사(子祀)·자여(子輿)·자려(子犂) ·자래(子來)라는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불비불명(不飛不鳴)

1. 고사성어 불비불명(不飛不鳴) 뜻과 풀이 不 : 아닐 불 蜚 : 날 비 不 : 아닐 불 鳴 : 울 명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서, 큰일을 위해 조용히 때를 기다리고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불비불명(不飛不鳴) 유래 고사성어 불비불명은 사마천이 지은 사기의 골계열전으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골계(滑稽)는 말을 너무 잘하여 막힘이 없을 정도라는 의미로서 '우스꽝스러움', '익살' 또는 '유머'를 의미합니다. 당대 왕의 심기를 최대한 거스르려 노력했고 그럼과 동시에 왕이 스스로 저지른 잘못됨을 바로잡게 만들려 노력했으며 웃음을 주기도 한 사마천의 영민함이 돋보이는 책이라고 할 수 있죠. 제나라의 위왕은 밤낮으로 음주가무를 즐기고 정사를 전혀 돌보지 않아서 늘 백성들이 굶주려 있었고 신하들의 사이..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마이동풍 (馬耳東風)

1.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 뜻과 풀이 馬 말 마 耳 귀 이 東 동녘 동 風 바람 풍 말의 귀에 스치는 동풍으로서, 남의 말이 귀를 기울이지 않고 흘려보낸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 유래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은 이백과 왕십이 주고받은 편지로부터 유래가 되었습니다. 이백과 왕십이가 살았던 나라는 중국 당나라였습니다. 이백이 살던 당나라의 당현종은 양귀비의 품에서만 놀아났고 당 정치의 부패는 극에 달했으며 민생은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진 상태로 극심히 어지러웠던 시기였습니다. 이백은 어릴 적부터 뛰어난 인재였기에 일찍이 과거에 합격하고 왕의 신하로서 살았으나 본인의 능력을 다 펼치지 못하고 당현종에게 시만 지어 올렸다가 세상에 대한 회한을 느끼고 관직을 내려놓았습니다. 이백과 왕십..

[오늘 하루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

1.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 뜻과 풀이 立 : 설 립 身 : 몸 신 揚 : 오를 양 名 : 이름 명 출세하여 세상에 이름을 널리 알린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 유래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은 유교(儒敎) 최초의 경전(經典) 효경(孝經)에서 유래했습니다. 자신의 수많은 제자 중 한 명인 증자(曾子)에게 공자가 효에 대한 내용을 전한 것으로 훗날 제자들이 모여 편저(編著)를 했습니다. 하지만 언제 이 책이 완성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 때 이 책이 전해졌으며 유교효도의 기본서가 되었다고 합니다. 身體髮膚 受之父母(신체발부 수지부모) 인간의 몸은 부모로 부터 만들어진 것이니 不敢毁傷 孝之始也(불감훼상 효지시야) 다치지 않고 건강한 신체를 ..

[오늘 하루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

1.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 뜻과 풀이 輾 : 돌아누울 전 轉 : 구를 전 反 : 뒤척일 반 側 : 기울 측 수레바퀴가 끝없이 돌며 뒤척인다는 뜻으로서, 근심과 걱정으로 잠을 이루지 못함을 의미 2.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 유래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은 중국 시경(詩經)의 관관저구(關關雎鳩)의 한 구절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시경은 주초부터 춘추시대초기까지 총 305편으로 이루어진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모아놓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래는 3천여 편의 시들을 공자가 311편으로 간추려 모아놓은 것이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시들은 오로지 305편뿐입니다. 關關雎鳩(관관저구) 꾸욱꾸욱 우는 물수리 在河之洲(재하지주) 황하의 모래섬에 있도다 窈窕淑女(요..

[오늘 하루 고사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1. 고사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뜻과 풀이 難 : 어려울 난 兄 : 형 형 難 : 어려울 난 弟 : 아우 제 형과 아우 중 누구를 선택해야 할지에 대해 난감하다는 뜻으로서 우열을 가리기가 어렵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유래 후한 말 많은 이들로부터 덕망과 인심이 너그러운 한 아버지 진식과 그의 두 아들 원방과 계방 세명의 사람은 세군자라고 불리었습니다. 진식은 태구현의 현감으로 있으면서 고을 주민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려 노력하였으며 옳고 그름을 확실하게 하는 성품에 있어 마을에 분쟁 같은 것들이 존재하지 않았다 합니다. 세군자 집에 도둑이 든 일화는 유명 일화 중 하나입니다. 천장 들보위에 숨어들었던 도둑은 세 부자들의 대화내용을 듣고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용서를 빌자 비단 두 필..

[오늘 하루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

1.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 뜻과 풀이 落 : 떨어질 낙 花 : 꽃 화 流 : 흐를 유 水 : 물 수 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모든 것들은 쇠약해지고 보잘것 없어진다는 의미와 남녀가 서로를 그리워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 유래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는 당나라 말기의 시인인 고변이 쓴 방은자불우(訪隱者不遇)라는 시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고변은 금군장령으로 지냈으나 황소의 난을 진압하다가 지방관직으로 좌천되었고 마지막엔 부하의 배반으로 살해를 당해버리는 불운을 겪은 인물입니다. 봄날에 은자를 만나고자 찾아갔으나 끝내 만나지 못하고 탄식을 하며 지은 시가 바로 방은자 불우입니다. 落花流水認天臺(낙화유수인천대) 꽃이 떨어지고 물이 흐르니 세상의 넓음을 알겠노라 半醉閑吟獨..

[오늘 하루 고사성어] 고희(古稀)

1. 고사성어 고희(古稀) 뜻과 풀이 古 옛 고 稀 드물 희 70세라는 의미 2. 고사성어 고희(古稀) 유래 고사성어 고희(古稀)는 두보의 시 [곡강이수]로 부터 유래되었습니다. 두보는 중국 당나라의 문인이자 이백과 함께 중국 역사상 최고의 시인으로 손꼽히고 있는 인물입니다. 두보의 인생은 굴곡이 무척 심했습니다. 재능도 뛰어나고 두뇌도 명석했지만 번번이 과거에 낙방을 하고 급제를 하더라도 강직하고 굳건한 성격 탓에 높은 벼슬자리를 얻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朝回日日典春衣 每日江頭盡醉歸 酒債尋常行處有 人生七十古來稀 穿花蛺蝶深深見 點水蜻蜓款款飛 傳語風光共流轉 暫時相賞莫相違. (조회일일전춘의 매일강두진취귀 주채심상행처유 인생칠십고래희 천화협접심심현 점수청정관관비 전어풍광공유전 잠시상상막상위) 조정에서 돌아올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미인박명(美人薄命)

1. 고사성어 미인박명(美人薄命) 뜻과 풀이 美 아름다울 미 人 사람 인 薄 엷을 박 命 목숨 명 여자의 얼굴이 어여쁘면 단명을 하거나 팔자가 불행해진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미인박명(美人薄命) 유래 고사성어 미인박명(美人薄命)은 중국 송나라때의 소식이 지은 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소식은 시, 사, 문, 음악, 서법등에도 조예가 무척 깊었으며, 정치에도 높은 견해를 가지고 있는 훌륭한 인물이었으나 중국 북송 왕조 시대 때 왕안석의 신법을 반대하면서 중앙관직에는 해임이 되고 여러 지방을 8여 년 동안 떠돌면 지방관직으로서 일하게 되었습니다. 소식은 중국 당나라와 송나라 때 활동했던 8명의 문학인인 당송팔대가의 인물 중 한명이었으며, 생애 소식 시집을 통하여 무려 2712수가 실렸다고 합니다. 정치계에서는 ..

[오늘 하루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

1.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 뜻과 풀이 口 : 입 구 蜜 : 꿀 밀 腹 : 배 복 劍 : 칼 검 입으로 내뱉은 말은 마치 꿀과 같이 달콤하나 뱃속에는 칼을 품었다는 뜻으로서 말로는 친근하게 하나 뒤로는 헤하려는 마음이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 유래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은 십팔사략에 나온 말입니다. 중국 당나라의 현종은 치세초기 측전무후 이후 어지러운 정세를 바로잡아 당나라의 안정을 도모하는데 큰 활약을 했습니다. 하지만 정치에 염증을 느꼈고 부인은 세상을 떠나 우울증까지 겪게 되었죠. 시간이 흐르고 당현종은 이임보의 소개로 양귀비를 만나 정사를 등한시 하기 시작했고 당현종의 마음을 얻은 이임보는 그의 재상이 되어 나라를 쥐락펴락 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충신들은 감히 ..

[오늘 하루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

1.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 뜻과 풀이 紅 : 붉을 홍 一 : 한 일 點 : 찍을 점 한개의 붉은 점이라는 뜻으로서, 여럿 속에서 뛰어난 하나를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남자무리 중 유일한 여자를 가리킬때 자주 사용됨. 2.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 유래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은 송나라 왕인석에 의해 유래되었습니다. 송나라의 왕인석은 작은 지방의 하급관아였으나, 어려서 부터 학문에 뛰어났고 행정실무능력이 탁월하였으며 관개사업과 재정관리 업무능력을 인정받아 전국으로 널리 유명할 정도였습니다. 특히, 송나라의 왕안석이 신법을 인종에게 제안하여 개혁을 일으켰었는데, 국가재정을 탄탄하게 만들기 위함이었고 부국강병을 꾀하는 좋은 취지의 개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반대파의 견제와 불안한 정치의 상황으..

[오늘 하루 고사성어] 강태공(姜太公)

1. 고사성어 강태공(姜太公) 뜻과 풀이 姜 성씨 강 太 클 태 公 공평할 공 중국 주나라 초기의 정치가의 이름으로, 낚싯대로 세월을 낚는다는 의미로 사용. 2. 고사성어 강태공(姜太公)의 유래 강태공은 중국 주나라의 역사적인 인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인물입니다. 70세까지는 강태공 자신이 가진 능력을 발휘하지 않고 '적절한 시기'를 기다렸다는 설과 태생적으로 관직에 나가는 것보다는 공부하는 것을 더 좋아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강태공이 70세가 될 때까지 공부만을 하다 보니 부인은 뒷바라지에 지쳐서 가출을 하게 되었고 그는 집 근처에 있는 위수강변에서 낚시질을 하곤 했습니다. 강태공과 같은 시기에 있던 주나라의 문왕은 사냥터에 나가기 직전에 점치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그날도 사냥하러 나가기전에 자..

반응형